Certificate/SQLD

📗 SQL의 정의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를 직접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언어이다. 데이터를 정의하고(Data Definition), 조작하며(Data Manipulation), 조작한 결과를 적용하거나 취소할 수 있고(Transaction Control),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Data Control) 처리들로 구성된다. 📘 SQL의 필요성 오늘날 기업 또는 조직의 정보화에 있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거의 대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데이터 저장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데이터베이스는 결국 SQL에 의해서만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시스템은 SQL..
DATA ON-AIR에서 28번 절차형 SQL을 요약 정리한 내용이다. 절차형 SQL 개요 절차형 SQL을 이용하면 SQL문의 연속적인 실행이나 조건에 따른 분기처리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절차형 SQL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저장 모듈은 Procedure, User Defined Function, Trigger가 있다. Oracle의 PL/SQL은 Block 구조로 되어있고 Block 내에는 DML 문장과 QUERY 문장, 그리고 절차형 언어(IF, LOOP)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절차적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하는 트랜잭션 언어이다. | 저장 모듈 저장 모듈이란 PL/SQL 문장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여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
DATA ON-AIR에서 25번 그룹 함수와 26번 윈도우 함수를 요약 정리한 내용이다. 데이터 분석 개요 ANSI/ISO SQL 표준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 다음 세 가지 함수를 정의하고 있다.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 GROUP AGGREGATE FUNCTION이라고도 부르며, GROUP FUNCTION의 한 부분으로 분류 COUNT, SUM, AVG, MAX, MIN 외 각종 집계 함수들 그룹 함수(GROUP FUNCTION) 하나의 SQL로 테이블을 한 번만 읽어서 빠르게 원하는 리포트를 작성할 수 있는 함수 ROLLUP 함수, CUBE 함수, GROUPING SETS 함수가 있다.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발전한 기능 분석 함수(ANAL..
DATA ON-AIR에서 23번 계층형 질의와 셀프 조인, 24번 서브쿼리를 요약 정리한 내용이다. 계층형 질의(Hierarchical Query) 테이블에 계층형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계층형 데이터란 동일 테이블에 계층적으로 상위와 하위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를 말한다. Oracle 계층형 질의 Oracle은 계층형 질의(Hierarchical Query)를 지원하기 위해서 [그림 Ⅱ-2-7]과 같은 계층형 질의 구문을 제공한다. START WITH : 계층 구조 전개의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구문 (루트 데이터를 지정 -> 액세스) CONNECT BY : 다음에 전개될 자식 데이터를 지정하는 구문 PRIOR: CONNECT BY절에서 사용되며, 현재 읽은 칼럼을 지..
jeongdh12
'Certificate/SQLD' 카테고리의 글 목록